티스토리 뷰
목차
실업급여 계산법을 쉽게 정리했습니다. 실업급여 수급 조건, 지급 금액 계산 방식, 예상 수급 기간 등을 상세히 안내해 드립니다. 빠르게 실업급여 예상 금액을 확인하려면 아래 버튼을 클릭하세요.
1. 실업급여란?
실업급여는 고용보험 가입자가 비자발적으로 퇴사했을 때 일정 기간 동안 지급되는 지원금입니다. 재취업을 준비하는 동안 안정적인 생활을 돕기 위한 목적이 있으며, 일정 조건을 충족해야 받을 수 있습니다.
2. 실업급여 지급액 계산 방식
✔️ 기본 공식
- 1일 지급액 = 퇴직 전 평균임금 × 60%
- 총 지급액 = 1일 지급액 × 지급일수
✔️ 지급 기준 (2025년 기준)
- 최저 지급액: 61,568원 (최저임금의 80%)
- 최대 지급액: 66,000원
3. 실업급여 지급일수 결정 기준
수급 기간은 근무한 기간과 연령에 따라 달라집니다.
근무 기간 |
50세 미만 |
50세 이상 & 장애인 |
---|---|---|
1년 미만 | 120일 | 120일 |
1년 이상 ~ 3년 미만 | 150일 | 180일 |
3년 이상 ~ 5년 미만 | 180일 | 210일 |
5년 이 ~10년 미만 | 210일 | 240일 |
10년 이상 | 240일 | 270일 |
4. 실업급여 예상 지급액 계산 예시
✔️ 예제 1: 3년 근무한 근로자
- 퇴직 전 평균 월급: 300만 원
- 1일 지급액: (300만 원 × 3개월 × 60%) ÷ 90일 = 60,000원
- 총 지급액: 60,000원 × 180일 = 1,080만 원
✔️ 예제 2: 5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
- 퇴직 전 평균 월급: 350만 원
- 1일 지급액: (350만 원 × 3개월 × 60%) ÷ 90일 = 66,000원 (상한선 적용)
- 총 지급액: 66,000원 × 210일 = 1,386만 원
5. 실업급여 신청 시 주의할 점
- 퇴사 후 1년 이내에 신청해야 함
- 수급 기간 동안 구직활동을 증명해야 함
- 부정수급 적발 시 지급액 환수 및 법적 처벌 가능
6. 실업급여 계산기 활용 방법
- 고용보험 홈페이지 방문
- 실업급여 메뉴에서 "실업급여 계산기" 선택
- 퇴직 전 평균 급여 입력
- 예상 수급 금액 확인
[ 함께보면 도움이 되는 글 ]
실업 급여
실업 급여 신청 방법, 수급 조건, 계산기
post1.dailypower.co.kr